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스프링RESTAPI
- 자바
- 인텔리제이오류
- SpringSecurity
- server
- 오버라이딩
- RDBMS
- JWT
- 상태코드
- SQL
- Static
- HTTP
- Swagger
- 쿼리
- 시큐리티
- 스프링오류
- 스프링
- application.yml
- HTTP상태코드
- JPA
- 스프링시큐리티
- restAPI
- spring
- API
- 서버
- Java
- MariaDB
- 어노테이션
- 의존성주입
- 스웨거
- Today
- Total
목록상태코드 (2)
취뽀몽
401(Unauthorized)과 403(Forbidden)의 정확한 차이를 잘 모르는 것 같아, 공부하고 포스팅하려 한다. 1. 401(Unauthorized) 401 Unauthorized 응답 상태 코드는 요청된 리소스에 대한 유효한 인증 자격 증명이 없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요청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즉, 클라이언트가 인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요청을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다고 알려주는 오류이다. 대표적인 경우는, 로그인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무언가를 요청했을 때 발생한다. 예시로 사이트에 로그인을 한 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마이페이지에 접근하려고 했을 때 401 에러를 반환받게 된다. 401 상태코드는 403 상태 코드와 유사하다. 다만 401 상태 코드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사용자 ..
백엔드를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HTTP 상태코드는 무조건 필수로 알고 있어야 한다. 이번에 리팩토링을 하면서 오류가 났을 때 어떤 상태코드가 발생할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았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상태코드는 3자리 숫자로 이루어지며 첫 번째 자리는 1 ~ 5까지의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1xx (정보) : 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한다. 2xx (성공) :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았고 수용했다. 3xx (리다이렉션) : 요청을 완료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4xx (클라이언트 오류) :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처리할 수 없다. 5x (서버 오류) : 서버가 유효한 요청을 명백하게 수행하지 못 했다. 1. 1xx (Informational, 정보성 상태 코드)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