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ava
- spring
- HTTP
- 쿼리
- 인텔리제이오류
- 스프링RESTAPI
- 어노테이션
- JWT
- 시큐리티
- Static
- Swagger
- 의존성주입
- HTTP상태코드
- API
- 자바
- 스프링오류
- 스웨거
- MariaDB
- restAPI
- 스프링
- 스프링시큐리티
- application.yml
- 서버
- 오버라이딩
- RDBMS
- JPA
- SpringSecurity
- SQL
- 상태코드
- server
- Today
- Total
목록application.yml (2)
취뽀몽

application.yml을 작성하다보면, 이런 정보까지 깃에 푸쉬해도 되는 걸까? 라는 생각이 드는 정보들이 있다.보통 Environmant variables에 추가하는 편인데, 뭔가 안심(?)이 되지 않는달까,,그래서 방법을 찾아봤고, 그 방법을 공유해보려고 한다. 우선, 위에 언급한 이런 정보란 당연히 민감한 정보를 뜻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로컬이긴 하지만(;;...) 이런 DB 접속 정보들이나, 카카오 로그인을 위한 클라이언트 키를 생각하면 되겠다.그럼 이제 해당 정보들을 관리하는 법을 알아보자. 1. application-private.yml 파일 생성파일 이름은 임의로 지어도 상관없다.해당 파일에 내가 숨기고 싶은! 드러내고 싶지 않은 정보들, 유출되면 안 되는 정보들을 추가해둔다.(이후 당..
Spring Boot는 설정파일을 application.yml 또는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이용해 직접 작성할 수 있다. application.ym은 YAML 형식으로 작성되며, 구조화된 데이터를 표현하는데 적합한 반면 application.properties은 key-value쌍으로 이루어진 프로퍼티 파일 형식이다. 말로 설명하면 어떤 느낌인지 잘 와닿지 않기 때문에 코드로 한 번 살펴보자. 1) application.yml spring: datasource: password: password url: jdbc:h2:dev username: SA 2) application.properties spring.datasource.url=jdbc:h2:dev spring.datas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