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의존성주입
- MariaDB
- Java
- 스프링
- SpringSecurity
- restAPI
- SQL
- 상태코드
- RDBMS
- JPA
- JWT
- 인텔리제이오류
- HTTP
- 자바
- Swagger
- 스프링오류
- server
- 스웨거
- application.yml
- 어노테이션
- API
- 서버
- 스프링RESTAPI
- spring
- 시큐리티
- Static
- 스프링시큐리티
- HTTP상태코드
- 쿼리
- 오버라이딩
- Today
- Total
목록Server (21)
취뽀몽
요즘 회사에서 네트워크 다루는 부분이 많이 생겼는데, 네트워크 부분은 정말 꽝이라... 차근차근 처음부터 공부해보고 있던 중, 무상태 프로토콜에 대해 알게 되었다. 프로토콜이면 HTTP나 TCP/IP만 알고있는데... 무상태 프로토콜은 뭐고 상태 프로토콜은 뭐지? 하는 마음에 공부해봤다. 1. 상태 유지 프로토콜 (Stateful) 상태 유지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관계에서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말 그대로 서버에서 클라이언트가 이전에 제공한 값을 저장하고, 그 다음 단계에서도 저장한 상태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웹 사이트에서 로그인 후 여러 페이지를 이동하면서도 로그인 상태가 유지되는 것은 상태 유지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로그인한 상..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최근 들어 서버 관련 문의가 많아져서 인프라 쪽으로 알아보는 도중 Scale-up과 Scale-out이란 걸 알게 되었다. 인프라 확장을 위한 방법인데, 알아본 김에 정리해두려고 한다. 1. Scale-up Scale-up은 쉽게 말해 기존 서버를 더 높은 사양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더 많은 CPU, 더 높은 RAM 용량, 더 큰 저장 공간 등을 추가함으로써 이뤄진다. 하나의 서버를 더 높은 사양으로 만들기 때문에 수직 스케일링(Vertical Scaling)이라고도 한다. 2. Scale-out Scale-out은 장비를 추가하여 확장하는 방식을 말한다. 서버가 여러 대로 나뉘기 때문에 각 서버에 걸리는 부하를 균등하게 해주는 '로드밸런싱'이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한다. 이 방법은 시..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